통일부 판문점견학지원센터

slider

section

견학코스

코스 안내

■ 집결 ·이동 : 임진각 '견학 안내소' → 통일대교 → 판문점 JSA 경비대대(브리핑) → 판문점
※ 복귀시 역순으로 이동
■ 견학 : 돌아오지않는 다리 → 제3초소 → 자유의집 → 군정위 회의실(T2) → 공동기념식수 장소 → 도보다리 → 장명기 상병 추모비

코스 상세정보

판문점 전체 약도 - 1. 돌아오지 않는 다리(유엔사측), 2. 제3초소, 3. 자유의 집(유엔사측), 4.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T2-유엔사측), 5. 공동기념식수장소(유엔사측), 6. 도보다리(유엔사측), 7. 장명기 상병 추모비(유엔사측), 8. 판문각(북한측), 9. 통일각(북한측), 10. 72시간 다리(북한측)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
자유의집

자유의집

공동경비구역 내 가장 북쪽에 있는 우리 측 시설로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북측 판문각을 마주보고 있는 건물입니다. 현재 이곳은 남북 적십자 간 연락 업무와 회담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T2)

정전협정 체결 후 정전협정 이행을 감시하고 위반사항을 처리하는 군사정전위원회 기구들의 회의실로 군사분계선 위에 가건물 7동이 지어졌습니다. 가운데 3개 동의 하늘색 건물(T1, T2, T3라 불림)이 UN사 측이 관리하는 건물이며, 그 중 가운데 건물이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T2)로 관람객이 직접 들어가 볼 수 있는 곳입니다.
* T는 가건물(Temporary)이라는 뜻입니다.

공동기념식수 장소

공동기념식수 장소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남북 정상이 함께 기념식수를 한 곳입니다. 나무 종류는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던 1953년생 반송(키가 작고 옆으로 퍼진 소나무)이며, 한라산 흙과 백두산 흙을 함께 뿌리고, 한강 물과 대동강 물을 함께 부어 주었습니다.

도보다리

도보다리

군사분계선 남쪽에 위치한 중립국감독위원회 캠프와 정전협정기구 회의실(T1, T2, T3) 간 이동을 위해 습지 위에 건설된 길이 50m, 폭 2m의 목조다리입니다.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산책을 한 장소이기도 합니다.

장명기 상병 추모비

장명기 상병 추모비

1984년 11월 23일 소련대사관 통역원 마투조크가 갑자기 군사분계선을 넘어 내려오면서 남측에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북한군은 그의 월남을 저지하기 위해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남북 간 총격전이 발생하였고, 우리 측에서 장명기 상병이 전사하고 미군 1명이 부상당했습니다.
유엔군 사령부는 전사한 고(故) 장명기 상병을 기리기 위한 추모비를 세우고, 매년 11월 23 그를 기리는 추도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통일부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판문점견학 집결지(판문점견학안내소):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48-40(DMZ생태관광지원센터 1층)
견학관련 문의: 1588-8889 (월~토 08:00~17:00, 공휴일 및 점심시간(12:00~13:00) 제외)
[통일부 판문점견학지원센터]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적십자로 152
판문점견학 집결지(판문점견학안내소):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48-40(DMZ생태관광지원센터 1층)

견학관련 문의: 1588-8889
(월~토 08:00~17:00, 공휴일 및 점심시간(12:00~13:00) 제외)
[통일부 판문점견학지원센터]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적십자로 152
Copyright 2020 Ministry of Unification. All Rights Reserved.